가계부채가 문제네정부부채에 대한 두려움 때문도 있어요
우리나라는 imf 외환위기 이후로 정부부채에 대한 거부감이 심한 것 같아요 imf도 우리나라 재정건정성 좋다고 했다던데 정부부채가 쌓이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내려놔야할 것 같아요 이번 양적완화 정책이 대출을 통해서 이루어진 부분이 제일 아쉽네요
우리나라는 imf 외환위기 이후로 정부부채에 대한 거부감이 심한 것 같아요 imf도 우리나라 재정건정성 좋다고 했다던데 정부부채가 쌓이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내려놔야할 것 같아요 이번 양적완화 정책이 대출을 통해서 이루어진 부분이 제일 아쉽네요
팬데믹을 통해 돈을 번 사람들도 물론 있고, 양극화를 어느 정도 해소했다는 분석도 충분히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렇지만 글에 나타난 것처럼 전체 배당금 중 47%를 상위 0.1%가 가져갔고, 0.2%를 하위 50%의 사람들이 나눠 가졌어요. 그리고 투자 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젊은 청년들과 소액 투자자들이 '투자 열풍'에 편승하였고, 그 결과 신규 투자자 중 60%가 넘는 사람들이 손해를 봤죠. 이건 오히려 양극화를 부추기는 것이 아닐까요?
코로나는 안그래도 심각한 양극화를 더 심화시킨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해요. 더 심각한 양극화를 야기하기 전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요
팬데믹은 분명 새로운 자본주의 시장을 여는데 한 몫했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이렇게 시장이 변화할 때마다 적응하는 계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 사이에 양극화가 심화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 같아요. 한국은 gdp대비 정부부채수준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이기 때문에 조금 더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