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성현
• 1개월 전

도입은 아직 섣불러!AI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람을 평가하는 것은 너무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AI 시스템이 사람을 판단하고 평가하는 것은 아직 너무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AI로 사람들을 평가하는 시스템을 도입하면 객관적이고 일관된 평가를 할 수 있고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하여 효울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고 인간의 편견과 주관적인 의견을 배제하고 공정한 판단하는 것은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AI가 아직 현재로서 할 수 없는 인간의 감성과 창의성을 판단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부적절하고 AI 시스템은 기술적인 결함이나 알고리즘 편향성으로 인해 부당한 결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이유로서 아직은 AI로 평가하는 시스템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은 너무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1
😚
10606김서준
위 의견에 동의합니다. 물론 도입된다면 보다 정확한 판단과 객관성이 잘 나타날 수 있겠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윤리문제 등 고려할 사항이 너무 많은데 현재 한국은 이러한 내용이 법으로 명시되어있지도 않을 뿐더러 규칙도 없기 때문에 아직 이른 것 같습니다.
1개월 전
이 토픽의 다른 의견이에요
🤩
정섭
• 1개월 전

인공지능을 통한 면접시스템은 아직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면접에서는 능력, 스펙, 인성을 주로 봅니다. 하지만 그뿐만 아니라 상대방이 함께 일을 할때 공동체의 비젼과 현재 공동체의 니즈에 적합한가 등의 요인이 작용합니다. 이는 공동체의 상황에 따라 달라짐으로 공동채가 원하는 인재상은 고정된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그저 인공지능이 가지고 있는 과거데이터를 통해서 현재필요한 인재를 뽑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

🫠
천호준
• 1개월 전

AI 평가 도입 하는 것은 좀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현재 윤리적으로 허용하기 어려운 실험도 AI를 활용하면 시행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이 나오고 있습니다.현재 커트 그레이 미국 노스캘롤라이나대 연구원은 인간처럼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AI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중간 실험 결과 AI는 윤리적 판단을 내려야 하는 464개 상황에서 인간 실험 참가자들의 답변과 거의 일치하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AI가 인간을 모방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는 대화형 AI는 자신의 의견이 곧 대다수의 의견이라 확신이 지나치게 강한 측면이 있습니다. 인간은 다수의 의견과 상반될지라도 주저 없이 자신의 목소리를 관철할 수 있다는 점에서 AI와 다릅니다. 다만 과학자들은 AI가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지 않을 것이라 예측하고 있습니다.그렇기 때문에 현재 아직 까지는 AI평가를 도입하기에는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토픽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