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216 박시후
• 1개월 전

우주항공청 설치하자우주항공청을 신설해야한다.

우주 탐사는 현재 전세계적으로 주목하고 있는 연구 분야이고 기업들도 우주 탐사 사업을 위해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다.아직은 우주 사업에 경쟁력이 적은 우리나라가 우주 탐사 사업에서 영향력을 얻기 위해서는 중앙통제기구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실제로 우주 탐사 분야의 강대국인 미국과 러시아(미국의 나사,러시아의 로스코스모스)는 국가 기관으로 우주 산업을 진행하고 통제하고 있다.또한 기업을 통해 우주 탐사를 하자는 의견도 있지만 기업은 기업의 이윤 증진이 목적이기 때문에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어 국가기관이 이러한 문제를 통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댓글 1
🙊
[2조]10634 최은제
저는 우주항공청의 신설을 반대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항공우주 산업에 관해서는 항공우주연구원이 총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런 항공우주 산업을 이끌어 가고 있는 국가 기관이 있는데 굳이 우주항공청을 설립해야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있습니다. 우주항공청을 설립하는 대신 항공우주연구원의 연구원들의 처우를 개선하거나 지속적인 지원을 해주는 것이 저는 맞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신설 비용 면에서 저는 박시후님이 생각하신 것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주항공청만 만드는 것이 아닌 건물도 지어야 하고, 인력도 뽑아야 하며, 초기 기반 시설 확충에도 막대한 비용이 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다른 산업에 투자를 하거나 기존의 항공우주연구원을 지원하는 것이 어떨까요?
1개월 전
이 토픽의 다른 의견이에요
🤩
김휘주
• 1개월 전

현재도 우리나라에는 우주와 관련된 기구들이 있다. 이 자료에도 나오다 싶이 이미 있는 기구 대신에 새로운 우주항공청을 만든 다는것은 좋은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새로운 기구를 만드는 것 보다는 현재 있는 기구를 재정비 하는 것이 훨씬 효율이 더 좋다고 할것이다. 이 자료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현재 우주와 관련된 연구를 하는 연구원들의 처우가 별로 좋지 않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들을 보면 우주항공청을 만드는것 보다 연구원들에 처우를 더욱 더 좋게 하는 것이 우리나라가 발전을 하는데에 더욱 더 큰 기여를 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
kimjinwoo
• 1개월 전

우주항공청을 신설하지 않고 국가우주위원회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같은 기존의 우주산업 기관을 정비해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기존에 만들어진 비슷한 역할을 하는 기관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새로운 기관을 만든 뒤 정보들을 이전하고 체제를 다시 정비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우주산업 총괄 기관이 바뀜으로써 혼란이 생길 수도 있다. 그리고 우주항공청을 설치하면 기관이 하나 더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우주 분야의 인재가 여러 기관에 분산되어 설치 전보다 더 효율이 떨어질 수도 있다.
...

이런 토픽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