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인 미만 사업장에도 주 52시간 근무제를 도입해야 할까?

2년 전3726
과도한 근로를 방지하고 균형이 있는 삶을 만들기 위해 2018년 시행된 '주52시간 근무제'는 종업원 300인 이상 사업장에 우선 적용한 이후, 점차 확장하여 '5~49명'인 50인 미만 사업장에도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안전한 노동이 가능해졌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있는 동시에, 50인 미만 사업장인 중소기업들에서 '준비가 되지 않았다'라는 의견이 다수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50인 미만 사업장에도 주 52시간 근무제를 도입해야 할까?
의견3
에디터의 글
최신순
🙈
춤추는고릴라
• 2년 전

기존에 존재했던 공짜야근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도는 공감하지만, 제도적 지원없이 시행해버린 결과 오히려 고용창출이라는 목적과는 반대로 인적규모를 줄이는 중소기업들도 생겨나고 있다.
...

🤨
7499
• 2년 전

정부가 주 52시간 근무제를 도입한 이유는 워라밸 보장을 위해서도 있겠지만, 고용 창출의 효과를 보기 위함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노동자들이 주 68시간에서 52시간을 근무하게 되면서 주 16시간이 남게 되고, 16시간을 채우기 위해 새로운 노동자를 고용하게 되는 것이다.
...

🌼
데이지
• 2년 전

정부와 국회가 중소기업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52시간제가 아니라 그보다 근로시간을 더 단축해서 중소기업계가 살아나고 근로자 생활에 실제 도움이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주52시간제를 무조건 배척하는 게 아니라, 지키고 싶어도 지키기 어려운 현실입니다. 그럴 여건이 못 되는 것이죠. 유례없는 취업난 가운데서도 중소기업계는 만성적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코로나19 쇼크 여파로 외국인 근로자마저 줄어들었습니다. 이 상황 속에서 중소기업계는 부족한 인력을 어디에서 조달할 수 있을까요?
...

의견3
에디터의 글

에디터의 글

2021년 8월 1일
🐾
Songarri
에디터
에디터의 글은 검증된 에디터가 토픽을 다방면으로 분석하여 제공하는 고품질의 글이에요.

토픽 간단 요약

2018년 도입된 주 52시간 근무제가 올해는 50인 미만 사업장까지 적용되기 시작했어요. 준비가 되지 않은 중소기업에는 안정적인 적용이 어렵다는 비판도 나오지만, 노동자들의 워라밸 보장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이야기가 오가고 있어요.

토픽 알아보기

토픽 보고서

이런 비슷한 토픽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