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의 재개를 위해서는 북한의 행동이 중요합니다. 북핵 리스트를 제출하고, IAEA사찰도 받아야 하는 것과 같은 것 말이지요. 개성공단 재개를 위해서는 북한의 진정성있는 조치가 우선 나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과거 북한은 2005년 9.19 공동성명의 내용, ‘모든 핵무기와 현존하는 핵 계획 포기’, ‘검증가능한 비핵화’ 규정을 이행하지 않았었습니다.
...
의견3
에디터의 글
개성공단의 재개를 위해서는 북한의 행동이 중요합니다. 북핵 리스트를 제출하고, IAEA사찰도 받아야 하는 것과 같은 것 말이지요. 개성공단 재개를 위해서는 북한의 진정성있는 조치가 우선 나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과거 북한은 2005년 9.19 공동성명의 내용, ‘모든 핵무기와 현존하는 핵 계획 포기’, ‘검증가능한 비핵화’ 규정을 이행하지 않았었습니다.
...
먼저 내년이면 대통령이 바뀌게 됩니다. 보수와 진보 두 진영의 대통령이 누가뽑히느냐에 따라 북한과의 관계는 크게 좌지우지하게 됩니다. 개성공단 물론 북한과의 소통 및 경제협력을 위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하지만 그동안 북한의 적반하장식의 태도 또 만약 보수당이 정권을 잡게 된다면 지금의 논의는 설사 올해안에 진행된다하더라도 정권이 바뀌게 된다면 또 아무런 의미없는 진행에 불과하게 될 것입니다. 정치적으로 이슈를 만들려는 것은 좋지않아보입니다
정부가 개성공단을 폐쇄 결정하게 되면서 북한은 연락 사무소 폭파 등 남측과 사전에 협의된 것 없이 단독 행동을 보였습니다. 설사 개성공단이 다시 가동된다 하더라도 북한이 무기 개발에 사용하지 않는다는 보장도 없고...맹목적으로 평화 통일을 외칠 때가 아닌, 좀 더 현실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2016년 개성공단 가동이 전면 중단된 이후 최근 남북 관계의 회복과 경제적 이점을 위해 개성공단의 재가동 주장이 나오고 있어요. 그러나 두차례 회담의 실패와 이미 일어난 투자에서의 손해가 크다며 반대하는 입장 또한 있어 개성공단 재가동을 두고 팽팽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