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마트에서 판매하는 초밥과 일식집, 무한 리필 뷔페에서 파는 초밥의 가격 차이가 당당치킨과 일반 치킨 브랜드의 판매 가격 차이만큼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겁니다. 결국 소비자들이 한정된 판매 수량임에도, 오픈런을 하면서까지 불편을 감수하면서 구매하는 이유는 가격이 1순위입니다.
...
의견3
에디터의 글
대형 마트에서 판매하는 초밥과 일식집, 무한 리필 뷔페에서 파는 초밥의 가격 차이가 당당치킨과 일반 치킨 브랜드의 판매 가격 차이만큼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겁니다. 결국 소비자들이 한정된 판매 수량임에도, 오픈런을 하면서까지 불편을 감수하면서 구매하는 이유는 가격이 1순위입니다.
...
'통큰치킨' 사태로부터 10여년, 치킨 프랜차이즈들이 지금의 사태에 대비하기 충분한 시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 시간동안 프랜차이즈들이 유통구조를 개선하고 마진을 합리화시켰더라면, 그렇게 해서 진작에 소비자-점주들과 상생할 수 있는 토대를 쌓았다면 지금과 같은 날선 비판을 받지는 않았겠죠. 자초한 결과입니다.
...
홈플러스에 갔다가 통큰치킨을 사려고 모인 긴 줄을 저도 본적 있어요. 저렴하고 양도 많아보이더라고요! 요즘 치킨 한 마리 먹으려면 못해도 2만원, 프렌차이즈는 3만원 이상도 각오해야 하죠. 예전과 달리 요즘은 떡볶이, 빙수, 치킨까지 뭐든 브랜드화 돼서 가격이 오르는 거 같아요. 통큰치킨이 '치킨 가격, 이만큼도 가능하다!' 라는걸 증명해준 느낌이라 소비자 입장에서는 좋았습니다. 기업도 비싼 광고모델 고용 등의 부가적인 지출을 줄이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돌아왔으면 좋겠습니다.
최근 대형마트 브랜드로 잘 알려져 있는 홈플러스에서 ‘당당치킨’이라는 이름으로 값싼 치킨을 출시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어요. 소비자들은 덕분에 낮은 가격으로 맛있는 치킨을 먹을 수 있게 되었지만, 프랜차이즈 업계 등에서는 당당치킨은 마진이 없는 미끼상품이라고 반박하고 있죠.